본문 바로가기

cs8

ep 05-1. index 인덱스(index) - 사전적 의미: 색인. - 데이터를 기록할 경우 그 데이터의 속성과 장소를 표로 표시하는 것 의의 -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공간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 👉 빠르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도움 사용 - INSERT : 데이터 인덱스 추가 - DELETE: 데이터 인덱스 삭제 - UPDATE: 기존 인덱스 사용 X, 바뀐 데이터 인덱스 추가 이런 곳들에 사용하면 좋음 규모가 작지 않은 테이블 위의 작업들이 자주 발생하지 않는 컬럼 JOIN, WHERE or ORDER BY에 자주 사용되는 컬럼 데이터 중복도가 낮은 컬럼 장점 테이블 조회 속도, 성능 향상 ⬆️ 시스템 부하 ⬇️ 단점 DB의 10% 해당하는 저장 공간 필요 관리를 위한 .. 2022. 12. 2.
ep 04. Blocking/Non-blocking Blocking & Non-blocking - 처리하는 작업이 전체적인 작업 흐름을 막냐/안 막냐에 대한 관점 👉 제어권이 누구한테 있는 지가 중요함 개념 Blocking 👉 자신의 작업을 진행하다 다른 작업이 시작되면 다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 자신의 작업을 다시 시작하는 것 Non-blocking 👉 다른 작업에 관련없이 자신의 작업을 진행하는 것 블로킹의 단계 A함수가 B함수를 호출함 👉 제어권 : A to B B가 함수 실행함. A함수는 멈춤 👉 제어권: B B함수가 끝남. 다시 A가 함수 실행 👉 제어권: B to A 논블로킹의 단계 A함수가 B함수 호출함 👉 제어권 : A B함수가 실행, 이때 A도 실행중임 👉 제어권: A 더 깊이 동기 & 비동기 - 함수 A가 B를 호출한 뒤, 함수 .. 2022. 11. 28.
TLS/SSL HandShake TLS(Transport Layer Security) - 인터넷에서 정보를 암호화해 송수시하는 프로토콜 - 암호화, 인증, 무결성 등 담당함 암호화 : 3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숨김 인증 : 정보를 교환하는 당사자가 요청된 당사자임을 보증 무결성 : 데이터가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는지 확인 TLS VS SSL - TLS는 Netscape가 개발한 SSL 이라 불리는 이전의 암호화 프로토콜에서 발전한 것 HTTPS 와의 차이점 HTTPS는 HTTP 프로토콜 상위에서 TLS 암호화를 구현한 것 모든 웹사이트 및 다른 웹 서비스에 사용됨 -> HTTPS 를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TLS 암호화를 이용하는 것 TLS Handshake - TLS를 사용하는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프로세스 - TLS 핸드셰이크 중.. 2022. 11. 20.
ep 02-1. 대칭키와 공개키 대칭키 자 먼저 대칭키란 무엇인가? 우리가 어떠한 정보를 암호화 하고, 그 정보를 다시 복호화 하는 등의 작업에 쓰이는 키가 동일 암호화 방식인 것을 대칭키 암호화라 한다. 암호화와 복호화란 무엇일까? 예시를 한번 들어보겠다. 우리가 만약 전쟁 상황이라고 가정을 해보자 이러한 상황에 우리는 전쟁에 있어 필요한 정보들을 무전을 통해 할 수도 있고, 문서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군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면 어떻게 될까? 도중에 뺏기거나 도청당할 경우 우리의 모든 정보를 상대방이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보를 암호화시켜 이를 복호화하지 않고는 알아들을 수 없게 만들고, 해독할 수 있는 키가 있어야 제대로 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까.. 2022. 11. 13.